군대 은어 '기리까시(기립가시)'의 어원과 의미, 그리고 현재의 용어 변화

군대 은어 '기리까시(기립가시)'의 어원과 의미, 그리고 현재의 용어 변화

 

군대 은어 '기리까시(기립가시)'의 어원과 의미, 그리고 현재의 용어 변화

군대 은어 '기리까시(기립가시)'의 어원과 의미, 그리고 현재의 용어 변화


'기리까시' 또는 '기립가시'는 과거 해병대와 해군 등 특정 부대에서 사용되던 은어로 병사에서 부사관으로 전환하는 행위를 지칭했습니다. 현재는 사용되지 않으며, 참고용으로만 이해해주시기 바랍니다.

'기리까시'와 '기립가시'란?

'기리까시'는 과거 해병대와 해군에서 병에서 부사관으로 전환하는 행위를 일컫던 군대 은어입니다. 일부에서는 '기립가시'라는 용어도 병행하여 사용되었지만, 현재는 거의 사용되지 않고 있으며, 비공식적이며 시대적 배경이 있는 표현입니다.

기리까시 어원의 주요 설

1. 일본어 '기리카에시(切り替えし)' 유래설


'기리까시'일본어 '기리카에시(切り替えし)'에서 유래한 것으로 추정됩니다. 이는 '무언가를 바꾸다', '교체하다'는 의미를 지닌 단어이며, 당구에서는 '비껴치기', 자동차 분야에서는 기어 변속을 뜻하기도 합니다. 과거 해군에서는 함정의 엔진을 교체할 때도 사용된 용어입니다.

2. '기립가시'라는 파생 용어


'기립가시'는 '기리까시'의 변형 또는 확장된 형태로 사용되었으며, 기립(똑바로 섬) + 가시(존재감 있는 인물)이라는 상징적 표현으로 쓰였습니다. 해병대에서는 간부가 병사에게 "기립가시 할래?"라고 묻는 것이 최고의 칭찬으로 여겨지기도 했습니다.

3. 의학 용어 조합 유래설


또 다른 해석으로는 '기립(orthostatic)'과 '가시(spine, spinous)'의 조합에서 유래했을 가능성도 제기됩니다. 기립은 '수직으로 서다', 가시는 '척추' 또는 '뾰족한 돌출부'를 의미하는 의학 용어입니다. 그러나 이 해석은 어원적 근거가 약하고 후대의 해석에 가깝습니다.

해병대와 해군에서의 사용 사례

해병대나 해군에서는 '기리까시'를 병사에서 하사로 신분 전환할 때 주로 사용했습니다. 당시 일부에서는 병에서 간부가 되는 것을 '배신' 또는 '짜세를 잡는다'고 여겨 부정적인 뉘앙스로 사용되기도 했습니다. 그러나 시간이 지나면서 장기 복무와 직업군인의 시작으로 인식되기 시작했습니다.

육군에서는 사용되지 않는 이유

육군에서는 '기리까시'라는 표현을 전혀 사용하지 않으며, '부사관 지원' 또는 '현역 부사관 임관'이라는 공식 용어를 사용합니다. 이는 육군 내에서는 일본어 잔재를 지양하고, 명확한 표현을 사용하는 문화 때문입니다.

현재 사용되는 공식 용어

구분 공식 용어 설명
병 → 부사관 전환 현역 부사관 지원 병 복무 중 부사관 시험에 응시
민간 → 부사관 민간 부사관 고졸 이상, 별도 전형으로 입대
대학생 부사관 학군 부사관(RNTC) 대학 재학 중 군 교육 이수 후 임관

정리 및 참고 안내

'기리까시' 또는 '기립가시'는 과거 해병대나 해군 등에서 비공식적이고 은어적으로 사용된 표현으로, 오늘날에는 사용되지 않는 오래된 군대 용어입니다.

일제 잔재로 추정되는 일본어 유래의 표현이므로, 현재는 사용을 지양하고 공식 용어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 이 글은 과거 군대 용어의 어원과 사용 사례를 역사적 참고 목적으로만 소개하는 것입니다. 현역 군 복무자나 지원자는 현재 공식 용어 기준으로 이해해 주시기 바랍니다.

출처: 국방부 군사어 어원 자료, 군 경험자 인터뷰, 일본어 군사용어 비교 분석

댓글 쓰기

궁금사항 문의하기(빠른시간 답변드리겠습니다)

이름

이메일 *

메시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