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부(부사관·장교) 병가·청원휴가 가이드 (2025 최신)

간부 병가의 승인권자·증빙서류·민간의료기관 이용 범위와 1시간 단위 병가, 연 30일 기본 한도, 연장 기준을 정리했습니다.

 

간부(부사관·장교) 병가·청원휴가 가이드 (2025 최신)

간부 병가의 승인권자·증빙서류·민간의료기관 이용 범위와 1시간 단위 병가, 연 30일 기본 한도, 연장 기준을 정리했습니다.


승인 체계(간부 병가)

  • 승인권자: 소속부대장(군 병원장 포함).
  • 용도: 민간·군병원 외래, 검사, 재방문 등 진료 목적 병가.
  • 불가피 사유로 원격지·특수 상황 시, 위원회 심의 후 승인 가능.

제출서류(예시)

  • 인적사항·진료일자 포함 증빙서류(진단서/소견서, 진료비 세부내역서·계산서·영수증 등).
  • 격리 사유·기간 확인 가능한 진단서가 있으면 병가 판단에 도움.

민간의료기관 이용 범위

  • 민간 외래 이용 가능, 다만 지역 내 기관 우선 원칙.
  • 장거리 이동 필요 시 사전 승인·사유 소명 권장.
  • 치료 중 본인부담금은 자비 부담(비급여 제외 등 세부 환급 여부는 부대 규정 따름).

시간 단위 병가·기간 한도

  • 1시간 단위 병가 승인 가능, 누적 8시간 = 1일로 산정.
  • 부여기간: 연간 30일 이내 원칙.
  • 장기 입원 필요, 군병원 병상 부족 등은 심사 후 추가 연장 가능.

청원휴가 증빙(가족 사유 포함)

주요 사유와 서류
구분증빙서류
본인·가족 치료/간호진단서, 입·퇴원확인서/진료확인서, 진료비 영수증 중 1
혼인(본인·자녀)혼인신고서·혼인관계증명서·청첩장 중 1
출산(본인·배우자)진단서/임신확인서, 출생증명서·가족관계증명서 중 1
사망(배우자·직계·형제자매)사망진단서 등 관련서류
입양, 난임치료, 자녀돌봄관계 기관 서류 / 의료기관 진단서 / 학부모 알림장·가정통신문·소견서 등

FAQ

  • Q. 병가를 시간 단위로 낼 수 있나요?
    A. 예. 1시간 단위 가능, 누적 8시간=1일.
  • Q. 민간병원만 이용해도 되나요?
    A. 가능하나 지역 내 기관 우선·사전 승인 권장.
  • Q. 연 30일을 넘길 수 있나요?
    A. 군병원 능력 초과·장기 치료 필요 등은 심사 후 연장 가능.

출처

  • 국방부 훈령 제2999호(’25.1.1.).

안내/고지

본 글은 안내사항을 바탕으로한 일반 안내이며, 승인권자 판단·부대 지침이 최종입니다. 서류 요건·기간 산정·환급 여부는 각 군·부대 규정과 최신 공문을 확인하세요.

댓글 쓰기

궁금사항 문의하기(빠른시간 답변드리겠습니다)

이름

이메일 *

메시지 *